{"type":"txt","text":"수국악학원","font_size":"26","font_weight":"bold","font_family_ko":"Godo","font_family_en":"Barlow","color":"#000000","letter_spacing":0}
  • 유치원소개
  • 유치원환경
  • 교육과정
  • 입학안내
  • 상담신청
  • 알림마당
  • {"google":["Barlow"],"custom":["Noto Sans KR","Godo"]}
    ×
     
     
    섹션 설정
    {"type":"txt","text":"수국악학원","font_size":"22","font_weight":"bold","font_family_ko":"Godo","font_family_en":"Barlow","color":"rgb(0, 0, 0)","letter_spacing":0}
  • 유치원소개
  • 유치원환경
  • 교육과정
  • 입학안내
  • 상담신청
  • 알림마당
  •  주요강좌 및 프로그램

    수국악학원의 주요강좌에 대한 악기소개와 프로그램을 알아보세요.

    수국악학원 주요강좌

    해금

    우라나라의 대표 전통 국악기

    해금(奚琴)은 울림통 위에 수직으로 세운 입죽(立竹)과 나란히 두 줄의 현을 걸고, 두 줄 사이에 말총 활을 끼워 연주하는 한국의 찰현(擦絃, 줄비빔)악기이다. 해금은 고려시대 한반도 북방의 요(遼, 거란), 금(金, 여진), 원(元, 몽골) 등 왕조들의 마상(馬上: 말 위에서 연주하는) 찰현악기들을 수용하여 향악기화한 것이다. 해금은 기본적으로 팔음(八音) 중 사부(絲部) 즉 현악기에 속하며, 고려시대 이래 향부(鄕部) 즉 고유악기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실제 음악 현장에서 해금의 분류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제법 복잡하다. 먼저, 해금은 사부 악기이지만 연주자들은 으레 “해금은 팔음, 즉 악기의 여덟 가지 재료를 다 갖추었다”고들 말한다.

    다음, 해금은 현악기인데도 연주 현장에서 해금의 음악은 현악이 아니라 관악으로 분류된다. 이 점은 같은 찰현악기인 아쟁(牙箏)도 마찬가지인데, 이는 전통국악에서 현악기 하면 으레 거문고나 가야금(伽倻琴)처럼 지속음을 낼 수 없는 발현(撥絃, 줄뜯음)악기를 가리키고, 해금이나 아쟁처럼 활을 계속 그어 지속음을 낼 수 있는 현악기는 음악적 특징이 관악기와 비슷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깡깡이’, ‘깡깽이’, ‘깽깽이’라는 속칭은 해금의 약간은 우스꽝스러운 코맹맹이 소리에서 연유한다. 해금의 음색이 이러한 것은 해금 줄이 가진 음향학적 잠재력에 비해 공명통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인데(이 점은 오케스트라 악기 중 비올라Viola를 닮았다), 현장에서는 해금 음색을 흔히 ‘노파의 자지러지는 웃음소리’, ‘어린 아기 우는 소리’ 등에 비유한다. 음량 자체가 많이 크지 않고 연주 방법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이런 특성 덕분에, 합주에서 해금의 소리는 다른 악기와 잘 조화를 이룬다.

    전통 합주에서 해금은 피리와 거의 비슷한 선율을 연주하고, 대체로 아쟁 선율보다 한 옥타브 높게 나란히 진행한다. 창작 합주곡에서는 한때 해금을 부당하게 오케스트라의 바이올린처럼 취급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해금 고유의 역량과 다른 악기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쪽으로 개선되었다.

    전통 해금은 악기 높이 약 70cm, 활대 길이는 약 72cm(말총 부분 약 60cm)이다. 해금은 가야금, 아쟁, 대금 등과 달리 정악용과 민속악용 악기가 따로 없다. 20세기 중반부터는 저음역 해금과 고음역 해금의 분화, 음량과 주법 개선, 줄 수 증가, 전자해금 개발 등 다양한 방향으로 해금 개량 실험이 행해지고 있다.

    가야금

    우리나라 전통 현악기

    가야금은 안족(雁足, 기러기발) 위에 음높이 순으로 얹은 열두 줄을 맨손으로 뜯고 튕겨서 소리 내는 치터(zither) 류의 발현(撥絃, 줄뜯음)악기이다. 정악용과 민속악용 가야금 외에 다양한 개량가야금이 있다. 중국의 정(箏), 일본의 고토(箏), 몽골의 야탁(Yatga), 베트남의 단짜인(Đan tranh) 등이 친척악기이다.

    가야금(伽倻琴)은 길고 넓적한 몸통(공명통) 위에 안족(雁足, 기러기발, movable frets)이라는 열두 개의 줄받침을 올리고 그 위에 명주실을 꼬아 만든 열두 줄을 하나씩 음높이 순으로 얹은 현악기로, 각 줄을 오른손 손가락으로 뜯고 튕겨서 소리 낸다. 이때 왼손은 안족의 왼편을 짚고 누르거나 떨어서 꺾는음(퇴성, 退聲), 미는음(추성, 推聲), 떠는음(요성, 搖聲) 등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를 농현(弄絃)이라 한다.

    팔음(八音) 중 사부(絲部), 즉 명주실을 주재료로 하는 악기이고, 한반도의 고유음악인 향악(鄕樂)의 연주에 사용되는 향부(鄕部)악기이다. 동아시아의 친척악기로 중국의 정(筝, Zheng), 일본의 고토(箏, Koto), 몽골의 야탁(Yatga), 베트남의 단짜인(Đan tranh) 등이 있다. 이들 친척악기와 비교해 볼 때 한국의 가야금은 철사나 나일론 줄을 사용하기보다는 전통적인 명주실 재질을 고수하는 경향이 있으며 왼손의 농현이 발달한 점이 특징이다.

    전통적인 가야금은 크게 정악용과 민속악용으로 나누어지고, 20세기 중반부터는 다양한 방식의 개량가야금이 나오고 있는데 그중 일부는 표준 가야금으로 정착했다.
     

    대금

    국악의 대표적인 관악기

    대금은 대나무로 만든 가로저(횡적, 橫笛)이다. 한국의 대금은 취구와 여섯 개의 지공이 있으며, 갈대 속청(막)을 붙여 세게 불 때 특유의 노이즈를 내는 청공이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가장 널리 연주되고 있는 전통대금은, 정악대금과 산조대금(시나위젓대)으로 구분된다.

    대금(大笒, 젓대)은 한국의 전통 목관악기 중 가로로 뉘어 부는 가로저(횡적橫笛, transverse flute)를 대표하는 악기이다. 대나무로 만든 죽부(竹部)악기이고, 한국 고유음악에 두루 사용하는 향부(鄕部)악기이다. ‘대금’은 특정 악기의 이름이고, ‘젓대’는 좁은 뜻으로는 대금을 가리키지만 넓은 뜻으로는 가로저 전반을 가리키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저대’ 또는 ‘대함’이라 부른다. 대금은 거의 모든 전통음악 합주곡에 편성되며, 현대 창작곡과 퓨전음악에도 흔히 쓰이는 매우 대중적인 전통악기이다.

    대금을 포함한 목관악기를 일상에서는 그냥 ‘피리’라고 총칭할 때가 많지만, 대금은 세로로 세워 부는 피리와는 엄연히 계통이 다른 악기이다. 옛 한문을 번역한 글에서 ‘피리를 분다’는 말이 나올 때도 원문을 확인해 보면 십중팔구 가로로 부는 관악기를 뜻하는 ‘적’(笛)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까 비전문적인 글이나 말에서 ‘피리’라고 하면 사실은 대금 종류의 가로저를 뜻할 가능성이 크다.

    대금에는 숨을 불어넣는 한 개의 취구(吹口, Blow hole)와 손가락으로 여닫아 음높이를 조절하는 여섯 개의 지공(指孔, Finger holes) 외에, 비슷한 종류의 다른 악기들에는 없는 여벌의 구멍이 많다. 셀로판같이 얇은 갈대 속청(막膜)을 붙인 ‘청공’(淸孔)은 세게 불 때 대금 특유의 노이즈 섞인 음색을 낸다. ‘칠성공’(七星孔)은 이름과 달리 보통 두 개가 있는데, 제작 단계에서 대금의 전체적인 음정과 미세한 음높이 조절을 위해 뚫는 구멍이다.

    전통대금은 정악(正樂)에 쓰는 정악대금과 민속악에 두루 쓰는 산조대금(일명 ‘시나위젓대’)으로 구분하며, 현대 들어 악기의 크기와 음역, 재질, 운지를 돕는 장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량이나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판소리

    소리꾼과 고수가 구연하는 고유 민속악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과 한 명의 고수(북치는 사람)가 음악적 이야기를 엮어가며 연행하는 장르이다. 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표현력이 풍부한 창(노래)과 일정한 양식을 가진 아니리(말), 풍부한 내용의 사설과 너름새(몸짓) 등으로 구연(口演)되는 이 대중적 전통은 지식층의 문화와 서민의 문화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최대 8시간 동안 연행되는 동안 남성, 또는 여성 소리꾼은 1명의 고수의 장단에 맞춰 촌스럽기도 하고 학문적이기도 한 표현을 섞은 가사를 연행하는 즉흥 공연이다.

    ‘판소리’라는 말은 ‘여러 사람이 모인 장소’라는 뜻의 ‘판’과 ‘노래’를 뜻하는 ‘소리’가 합쳐진 말이다. 판소리는 17세기 한국의 서남지방에서, 굿판에서 무당이 읊조리는 노래를 새롭게 표현한 것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한편 조선 영조 30년(1754)에 유진한이 지은 춘향가의 내용으로 보아 적어도 숙종(재위 1674~1720) 이전에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고, 조선 전기 문헌에 보이는 광대소학지희(廣大笑謔之戱)가 토대가 되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 광대 집단과 관련이 있다는 측면에서 판소리는 소리꾼과 청중의 적극적인 참여로 완성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후 판소리는 서민들 사이에서 구전으로 전해지다가 19세기 말경에 문학적 내용으로 더욱 세련되어졌으며 도시의 지식인들 사이에 많은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판소리를 구성하는 배경, 등장인물, 상황 등은 조선시대(1392~1910)에 뿌리를 두고 있다. 판소리의 창자는 아주 다양하고 독특한 음색을 터득하고 복잡한 내용을 모두 암기하기 위해서 오랜 기간 동안 혹독한 수련을 거친다. 창자 특유의 해석 방식을 개발하여 특정 이야기를 연행하게 되면서 특수한 연행으로 이름난 판소리 대가들이 많다.

    한국이 급속하게 현대화되면서 판소리는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래서 1964년 국가가 판소리를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조치로 아낌없는 제도적 지원이 장려되었고, 그 결과 판소리의 전통은 활기를 되찾게 되었다. 판소리는 전통적 무대예술 중에서 가장 유명한 장르지만, 원래의 판소리가 지니고 있었던 즉흥성은 많이 잃었다. 판소리 작품의 기록이 증가하면서 판소리가 가진 특징인 즉흥성은 억제되는 경향이 생겼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판소리가 이렇게 발전을 이루게 된 것은 오히려 판소리를 보존하기 위해 기록하고 정리하는 과정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사실, 오늘날에는 판소리의 즉흥성을 제대로 살릴 수 있는 창자도 드물지만 관객들 역시 판소리의 즉흥적 독창성 및 전통 판소리의 내용에 그다지 감동을 받지 않고 있다.
     

    프로그램

    최상의 커리큘럼으로 가치를 실현시키는 곳


    수국악학원에서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강의안내

    전문가코스


    취미를 넘어서 전문적으로 음악을 배울 수 있는 전문가 코스!

    국악음악에 대한 열정은 많은 취미반으로는 뭔가 부족한 것 같다고 느끼시는 수강생 혹은 예고예대 준비를 미리 준비하는 수강생들에게 추천해드리는 코스입니다. 단순히 재미를 위해 배우는 단계를 넘어 심화된 국악음악교육을 경함할 수 있는 코스로서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취미코스


    숨가쁘게 살아가는 당신에게 힐링을 선물하세요!

    취미코스는 전문가코스 못지않게 체계적이지만 음악을 쉽고 재미있게 배우길 원하는 분들을 위한 코스입니다. 입시전문 강사진이 취미코스 수강생을 직접 지도하기 때문에 탄탄한 커리큘럼을 자랑하며 취미 코스역시 1:1 개인레슨으로 진행되어 밀도있는 수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음악을 통해 품격있는 국악취미생활을 즐기실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학교수행평가


    초,중,고등학교 내신 수행평가를 위한 단기 국악코스!

    내신수행평가를 위한 국악음악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수국악학원입니다.
    입시전문 강사진이 직접 지도를 하기 때문에 탄탄한 커리큘럼으로 내신수행평가대비를 책임집니다.
    또한 우리전통음악인 국악을 대중적으로 보급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국악음악교육이기에 학생들에게 우리의 음악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심어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강사진과 함께

    프리미엄 담임제

    기존의 형식적인 담임제도를 탈피하고자 프리미엄 담임제를 도입해 철저한 수강생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학원에 상주하고 있는 전임강사들이 입시생은 물론 취미 코스 수강생과 1:1 면담을 갖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담임제는 개인레슨 진도현황 파악과 연습일지 관리를 통해 음악에 대한 자신감을 불어넣어 줍니다.

    임팩트 개인레슨

    임팩트 개인레슨은 국악학과 상위권 대학 출신 강사들의 1:1 개인레슨으로 이루어집니다. 수국악학원의 임팩트 개인레슨과 함께 한다면 여러분의 목표를 이루실 수 있습니다.

    {"google":["Barlow","Raleway","Roboto"],"custom":["Noto Sans KR","Godo"]}{"google":["Barlow","Roboto"],"custom":["Noto Sans KR","Godo","Jua","BMDOHYEON"]}
    {"google":["Roboto"],"custom":["Noto Sans KR","Godo"]}
    간편하게 만드는 무료 홈페이지 큐샵
    시작하기